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최근 <경제위기> 7가지를 알아봅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팬데믹 경제위기 등)

목차

     

    7879

     

     

     

    1. 최근 경제위기 7가지

    7879
    7879

     

    ①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태국의 바트화 폭락으로 시작되어, 외환 보유고 부족과 부실한 금융 시스템이 문제로 지적되었습니다. 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국가들이 큰 타격을 받았으며, IMF의 구제금융을 받는 국가가 많았습니다.

    ②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시작되어, 금융기관의 부실 대출과 과도한 레버리지 사용이 주요 원인입니다. 전 세계 금융 시스템이 붕괴되었고, 많은 국가에서 심각한 경제 침체가 발생했습니다.

    ③ 2010-2012년 유로존 부채위기
    그리스의 재정 위기와 국가 부채 증가가 주요 원인입니다. 포르투갈, 아일랜드, 이탈리아 등 여러 유럽 국가들이 재정 긴축을 겪으며 경제가 위축되었습니다.

    ④ 2020년 COVID-19 팬데믹 경제위기
    전 세계적인 봉쇄 조치와 이동 제한으로 인해 경제 활동이 급격히 위축되었습니다. 많은 기업이 파산하고, 실업률이 급증하며, 정부의 대규모 재정 지원이 필요했습니다.

    ⑤ 2022년 에너지 위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공급 차질과 가격 급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유럽을 중심으로 에너지 비용이 급증하며, 인플레이션이 심화되었습니다.


    ⑥ 2023년 인플레이션 위기
    팬데믹 이후 공급망 문제와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급증했습니다. 소비자 물가가 상승하고,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이 이어졌습니다.

    ⑦ 2024년 한국의 7중 위기
    경제 성장률 하락, 저출산 문제, 가계부채 증가, 자영업 위기, 기술 종속, 지정학적 위기, 사회적 불안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한국 경제가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2. 경제위기의 원인

    ① 우선,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과도한 레버리지와 부실 대출은 금융기관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이는 결국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제적 불균형도 큰 문제입니다. 소득 분배의 불균형이 심화되면 소비가 위축되고, 무역 불균형이 발생하면 외환 보유고가 감소하여 통화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정책 실패 역시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정부의 재정 정책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이 경제 상황에 맞지 않으면,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과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외부 충격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자연재해나 전염병, 그리고 지정학적 갈등은 경제 활동을 급격히 위축시키고 공급망에 큰 타격을 줍니다.

    기술 변화 또한 경제위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산업 구조의 변화와 자동화의 진행은 기존 일자리를 감소시키고, 이는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소비자와 투자자의 심리적 요인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 지출이 줄어들고, 이는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 경제위기의 교훈

    경제위기는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며, 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①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② 소득 분배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소비를 촉진해야 합니다.

    ③ 정부의 정책이 경제 상황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며, 중앙은행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④ 외부 충격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⑤ 기술 변화에 적응하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⑥ 소비자와 투자자의 심리를 고려한 정책이 경제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러한 교훈을 바탕으로 미래의 경제위기를 예방하고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4. 관련된 기사

    리먼 브라더스 파산: 2008년 금융위기의 도화선과 현대 금융의 교훈
    2024.09.20 09:59 | 사례뉴스 | 최한길 기자

    리먼 브라더스는 2008년 9월 15일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당시 미국 4위 투자은행이었던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6390억 달러의 자산과 6130억 달러의 부채를 안고 파산한 리먼 브라더스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기업 파산 사례로 기록되었다. 이 사건은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며, 현대 금융 시장에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출처
    https://www.cas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358
    남유럽 국가들, 한때 위기 딛고 유로존 '경제 우등생'으로
    2024.06.11 | 한국무역협회 | 연합뉴스

    남유럽 국가들, 한때 위기 딛고 유로존 '경제 우등생'으로
    2010년대 유럽 재정위기 때 'PIGS' 오명…"저임금 등은 여전히 과제" 

    2010년대 초반 유럽 재정 위기 당시 어려움을 겪었던 남유럽 국가들이 최근에는 오히려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내 주변국들을 넘어서는 경제 '우등생'이 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출처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JSESSIONID_KITA=3AB1E77C4143DBD67091A37766BA7A8E.Hyper?no=84219&siteId=2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경제위기 <세계금융위기> 정리 및 교훈
    2024.11.13 12:00 | 탐스픽

    출처
    https://tomspic.tistory.com/231
    1997년 <IMF 외환위기> 사태 정리 및 교훈
    2024. 11. 14. 14:44 | 탐스픽

    출처
    https://tomspic.tistory.com/233

     

     

     

     

    Always be full of luck and have a nice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