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NASDAQ

TRI <톰슨 로이터> 주가, 배당금, 특징, 전망 (나스닥, 정보 및 데이터 제공 회사)

 

78999

 

이번에는 이 종목의 주가, 특징, 전망, 배당금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톰슨 로이터

톰슨 로이터(Thomson Reuters Corporation, TRI)는 2008년 캐나다의 톰슨 코퍼레이션과 영국의 로이터 그룹이 합병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이 회사는 정보 서비스와 뉴스 제공을 전문으로 하며, 금융, 법률, 세무 및 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나스닥에 상장된 TRI는 글로벌 시장에서 데이터와 분석을 제공하여 고객의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2020년에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 혁신을 도입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1) 주요지표

78999
<네이버>

종목명 톰슨 로이터(TRI)
상장 나스닥
시가총액 794억 달러
(한화 약 115.88조원)
주가 176.44 달러
주당배당금 2.38
배당수익률 1.35%
BPS N/A
PBR N/A
EPS 4.85 달러
PER 36.43배

*2025년 2월 28일 <네이버페이> 참고

 

 

2) 사업분야

톰슨 로이터(Thomson Reuters, TRI)는 법률, 금융, 세무 및 미디어 분야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정보 및 데이터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법률 기술 및 핀테크 솔루션을 통해 고객에게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법률 및 규제 관련 데이터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SafeSend라는 새로운 서비스로 연간 6000만 달러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매출의 25%에 해당하는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TRI는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3) 투자현황

톰슨 로이터(TRI)는 2025년에도 지속적으로 설비투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에 따르면, 회사는 인공지능 기반 제품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여 수익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1억 5천만 달러 규모의 기업 벤처 자본 펀드를 설립하여 혁신적인 기술 개발 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투자 전략은 재무적 규율을 바탕으로 하여,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나아가, TRI는 자본 구조 최적화를 위해 다양한 교환 제안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4) 강점분석

톰슨 로이터(TRI)는 정보와 데이터 제공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업에 걸쳐 신뢰할 수 있는 분석과 통찰력을 제공하여 고객의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폭넓은 시장 접근성을 확보하고 있어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 처리와 분석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 개발로 새로운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5) 약점분석

톰슨 로이터(TRI)는 경쟁이 치열한 정보 제공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가격 경쟁력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술 변화에 대한 적응 속도가 느릴 경우 시장 점유율을 잃을 위험이 있습니다.

특정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경제 상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점도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6) 향후전망

톰슨 로이터(TRI)는 현재까지 다양한 도전과 기회를 경험했습니다. 매출은 감소했지만, 반복 수익은 증가하여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4분기에는 전체 매출의 상당 부분이 반복 수익에서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익성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톰슨 로이터는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통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이러한 전략들이 결실을 맺을 것으로 기대되며, 매출 성장률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디지털 서비스와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톰슨 로이터는 향후 몇 년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더욱 집중할 것입니다.

 

 

7) 뉴스기사

톰슨로이터, '리걸 테크 포럼 2024' 개최…리걸테크 교류의 장
2024.05.10 10:36 | 한경닷컴 | 김예랑 기자

톰슨로이터코리아가 주최하는 ‘Korea LEGAL-TECH Forum 2024 (이하 리걸테크포럼)’가 오는 5월 30일 JW 메리어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다.

출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1005117
“기업은 ESG 정치 리스크에 대비하라”...톰슨로이터연구소 제언
2024.07.05 10:36 | ESG경제 | 이진원 기자

11월 美 대선 등으로 ESG 법안 추진 차질 가능성
ESG 찬반속 정치권의 규제 추진 변화 예의 주시해야
규제 변화 리스크 반영해 지속가능 계획 수립 필요

출처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7000
톰슨로이터, 'o1' 미세조정한 법률 AI 어시스턴트 ‘코카운슬’ 국내 출시
2024.12.19 16:04 | AI타임스 | 박수빈 기자

톰슨로이터 코리아(대표 김준원)는 법률 전문가를 위한 인공지능(AI) 어시스턴스 '코카운슬(CoCounsel)'을 국내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출처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6376

 

 

Always be full of luck and have a nice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