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대제철
현대제철은 6.25 전쟁이 끝나기도 전인 1953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철강업체로 출발하여 대한민국 철강 산업의 역사를 개척해 왔습니다. 1956년 국내 최초 제강공장 건설에 이어 1960년에는 우리 힘으로 철판을 생산하는 박판압연공장을 세우며 기술 자립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여러 차례의 상호 변경과 과정을 거치며 현대그룹의 일원으로 편입되어 규모를 키웠습니다. 60년이 넘는 긴 업력을 통해 봉형강 분야 국내 최대 생산 능력과 기술력을 갖춘 대표적인 철강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1) 주요지표
종목명 | 현대제철 (004020) |
시가총액 | 3조 7,298억원 (코스피 105위) |
주가 | 27,950원 |
외국인지분 | 17.98% |
배당수익률 | 2.68% |
BPS | 143,607원 |
PBR | N/A |
EPS | -737원 |
PER | N/A |
동일업종 PER | 29.63배 |
*2025년 6월 5일 <네이버증권> 기준
2) 사업분야
현대제철은 제철, 제강, 압연 과정을 거쳐 다양한 철강재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고로와 전기로 사업을 모두 영위하며, 열연 및 냉연 강판, 후판, 형강, 철근 등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합니다.
이러한 철강 제품들은 건설, 자동차, 조선 등 국내외 주요 산업 분야에 필수적인 소재로 공급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을 위해 자동차용 철강 솔루션 브랜드인 H-SOLUTION을 보유하고 있으며, 친환경차 수요에 맞춰 초고장력강 등 고기능성 제품 판매를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이와 더불어 금속 주조 및 자유단조 사업부문도 운영하며 종합적인 철강 솔루션 기업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 투자현황
현대제철은 최근 몇 년간 미국 내 대규모 설비 투자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는 2025년부터 시작하여 향후 수년에 걸쳐 진행될 예정입니다.
핵심적인 투자 내용은 미국 현지에 새로운 전기로 방식의 제철소를 건설하는 방안이 포함됩니다.
신규 제철소가 들어설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는 뉴올리언즈 인근이 유력하게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 계획은 주로 생산 능력을 늘리고 미래를 주도할 기술에 투자하며 에너지 관련 인프라를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이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전체적인 북미 지역 투자 확대 전략과도 긴밀하게 연결되어 시너지를 창출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4) 강점분석
현대제철은 국내 전기로 사업 부문에서 선두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는 현지 업체 대비 높은 원가 및 품질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자동차용 강판 등 기술력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도 고강도 제품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기술 경쟁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업 규모에 비해 양호한 재무 상태를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상풍력 등 신규 사업 분야 진출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는 점도 강점으로 꼽힙니다.
5) 약점분석
최근 국내 건설 경기가 부진하면서 현대제철의 봉형강 제품 수요가 위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더불어 중국의 철강 업황 부진이 제품 평균 판매 단가(ASP) 하락에 영향을 미치며 수익성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주요 철강사들이 겪는 노조 관련 리스크 또한 잠재적인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 환경 요인들이 실적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힙니다.
6) 향후전망
현재 현대제철은 국내 건설 경기 부진과 중국 철강 시황 약세의 영향을 받으며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당장의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5년 초반에도 이러한 영향이 이어지며, 1분기 실적은 다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점진적으로 시장 상황이 개선될 가능성도 제기되며, 일부에서는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를 상향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미국에 신규 전기로 공장 건설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본격적으로 추진될 계획입니다.
이는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북미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입니다.
다만, 배당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7) 뉴스기사
현대제철, 1Q 영업손실 190억원…업황 부진·파업 여파로 적자전환 2025.04.24 18:00 | 전기신문 | 오유진 기자 현대제철이 철강 업황 부진과 파업 등의 여파로 지난해 1분기 558억원 흑자에서 올해 1분기 적자 전환했다. 현대제철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24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5조5635억원으로 6.5% 감소했다. 출처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53947 |
현대제철, 셧다운·희망퇴직 이어…포항공장 중기사업부 매각 2025.06.02 20:09 | 연합인포맥스 | 윤은별 기자 현대제철[004020]이 포항 공장 중기사업부를 매각한다. 2일 현대제철은 포항 1공장 중기사업부를 매각하기 위해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매각 상대방은 대주·KC그룹이다. 출처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8538 |
인천 철강업계, 트럼프 50% 관세 폭탄에 ‘3중고’…현대제철·동국제강 잇단 공장 중단 2025.06.04 16:14 | 경기일보 | 김샛별 기자 인천지역 철강업계가 미국의 관세 폭탄 직격탄과 함께 건설경기 침체 및 중국물량 유입 등으로 인한 과잉 공급까지 ‘3중고’를 겪고 있다. 현대제철의 지난 4월 1개월 공장 가동 중단에 이어, 동국제강도 오는 7월22일부터 4주간 인천공장의 가동을 멈출 전망이다. 출처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604580279 |
Always be full of luck and have a nice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