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TIGER 우선주
1) ETF 시세
2) ETF 배당금
2025년 6월 29일 시세 : 13,470원
2024년 총 배당금 : 416원
연간 배당수익률 : 3.72%
3) 종목별 분석
① 삼성전자우
삼성전자우는 반도체(DS)와 모바일, 가전(DX) 사업을 주축으로 하며, 특히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이 주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D램 유통 재고 건전화와 HBM3E 사업의 본궤도 진입, 그리고 역대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 투자 지속은 강점으로 꼽힙니다.
갤럭시 S25 시리즈의 판매 호조와 유럽 1위 HVAC 기업 플랙트그룹 인수를 통한 중앙공조 포트폴리오 강화도 긍정적입니다.
다만, 반도체 수출 통제로 인한 HBM 판매 감소와 파운드리의 계절적 수요 약세 및 가동률 정체는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분기 이후 D램과 파운드리 실적 반등이 예상되며, 특히 AI 모멘텀을 통한 DS사업부의 가파른 이익 증가가 기대됩니다.
이러한 기술 혁신과 지속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삼성전자우는 2025년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② 현대차2우B
현대차2우B는 현대자동차의 우선주로서, 2025년 현재 현대차의 핵심 사업인 자동차 제조 및 판매를 기반으로 합니다.
특히 현대차 그룹은 전기차(EV) 및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미래 시장을 선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혁신 노력과 우선주로서의 배당 매력이 주요 강점으로 꼽히지만, 본주 실적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거래량이 적어 가격 변동성이 크다는 약점도 있습니다.
또한, 미국 관세와 같은 외부 요인이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차가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변화에 발맞춰 나가는 전략은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제시하며, 따라서 현대차2우B는 본주의 미래 성장성과 배당 정책을 면밀히 분석하여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③ 미래에셋증권2우B
미래에셋증권2우B는 2025년 현재 국내 자산 및 자본 규모에서 우수한 시장 지위를 갖춘 대형 금융투자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핵심 사업을 기반으로 합니다.
2025년 하반기에는 '상저하고'의 실적 흐름이 예상되며, 시장 환경 개선에 따른 실적 회복 기대감은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AI 관련 사업 등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어 성장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다만, 우선주 특성상 본주 대비 낮은 유동성과 금융시장 변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점은 약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형 증권사로서의 안정적인 사업 기반과 시장 회복에 따른 이익 개선 가능성으로 2025년에도 긍정적인 성장세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④ 삼성화재우
삼성화재우는 2025년 현재 국내 손해보험 시장을 선도하는 삼성화재의 우선주로서, 안정적인 보험 사업을 기반으로 합니다.
신상품 '보장 어카운트'의 높은 수익성과 꾸준한 자본 관리 노력은 강점으로 꼽히며, 추가적인 주주환원 가능성도 기대됩니다.
다만, 2025년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하고 자동차보험 손익이 급감하는 등 단기적인 실적 부진은 약점으로 지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화재는 리스크 관리와 질적 성장 전략, 디지털 전환 등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2025년 영업이익은 2024년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나, 2026년에는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삼성화재우는 본주의 안정적인 사업 운영과 미래 성장 전략에 따라 가치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⑤ LG화학우
LG화학우는 2025년 현재 석유화학 및 배터리 소재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고 DX 및 ESG 경쟁력을 강화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데 강점을 보입니다.
그러나 석유화학 및 배터리 소재 업황 부진과 원자재 가격 변동성은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실적 개선 전망에도 불구하고 전방 수요 부진으로 목표가가 하향 조정되는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G화학은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차별화된 경쟁력을 입증해왔습니다.
따라서 2025년은 도전과 변화의 해가 되겠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통한 성장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⑥ 두산우
현재 두산우는 지주회사인 ㈜두산의 사업을 기반으로 하며, 에너지, 산업차량, 건설기계, 연료전지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릅니다.
특히 우선주로서 높은 배당 수익률을 제공하여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강점을 지닙니다.
또한, 연료전지 사업 부문은 2025년까지 연평균 약 14%의 높은 성장이 예상되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선주 특성상 본주 대비 거래량이 적어 유동성이 낮고, 본주의 실적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약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산 그룹 전반의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와 신사업 투자를 통해 꾸준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두산우는 안정적인 배당과 함께 그룹의 미래 사업 성장을 함께 기대해 볼 수 있는 종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
⑦ 한화3우B
한화3우B는 2025년 현재 ㈜한화의 우선주로서, 방산, 화학, 금융 등 다양한 사업 분야를 아우르는 한화그룹의 견고한 사업 구조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 종목의 주요 강점은 우선주 특성상 본주 대비 높은 시가배당률을 제공하여 배당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이라는 점입니다.
또한, 지주사 아래 자회사들의 사업이 견고하고, 최근 주주환원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추세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본주 대비 낮은 유동성과 높은 변동성은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배당 우선권 상실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화그룹이 방산 사업 분야의 기술력 강화와 같은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지속하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 잠재력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⑧ LG전자우
LG전자우는 가전, TV, 전장 사업을 주력으로 하며, 특히 인공지능(AI) 기반의 홈 솔루션과 차세대 혁신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가전 부문에서 AI DD모터가 탑재된 세탁건조기 '워시콤보'와 AI 기능이 강화된 'LG 올레드 에보' 등으로 혁신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이는 주요 강점입니다.
또한, 100조 원에 육박하는 전장사업 수주잔고와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다만, 우선주 특성상 본주 대비 낮은 유동성과 글로벌 경기 변동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은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G전자는 AI 기술을 활용한 제품 혁신과 전장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배당 측면에서는 2025년 주당 배당금이 USD 249.51로 예상되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⑨ 한국금융지주우
한국금융지주우는 2025년 현재 금융투자업을 영위하는 한국금융지주의 우선주로서, 주로 증권 및 투자은행(IB) 사업을 기반으로 합니다.
2025년 순이익이 1조 768억 원으로 예상되며 전년 대비 4.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실적 개선세가 기대됩니다.
특히 IB 부문의 강점과 계열사들의 안정적인 실적 회복, 금리 하락에 따른 채권 운용 이익 강화가 주요 강점입니다.
다만, 우선주 특성상 본주 대비 낮은 유동성과 금융 시장 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점은 약점으로 꼽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립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증권사들의 목표가 상향이 이어지는 등 긍정적인 투자 환경과 정책 기대감 속에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지배주주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하는 등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어, 앞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⑩ 대신증권우
대신증권우는 2025년 현재 증권업을 기반으로 금융투자 및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증권의 우선주입니다.
대신증권은 2025년 금융시장 및 증시 전망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시장 분석 역량에 강점을 보이며, 우선주로서 안정적인 배당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2025년 2월에서 3월 사이 주가 하락 및 변동성을 보인 사례가 있어 단기적인 가격 등락에 취약할 수 있으며, 우선주의 낮은 유동성 또한 약점으로 꼽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5년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전반적인 금융 시장 환경 개선에 따라 동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4) 뉴스기사
코스피·코스닥 나란히 상승 출발...삼성전자·한화에어로 강세 2025.06.27 09:36 | 오피니언뉴스 | 박준호 기자 하이닉스·LG엔솔·네이버 및 코스닥 주요종목 하락세 27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0.05% 내린 3077.87로 출발했다. 코스닥은 0.25% 오른 789.93로 개장했다. 오전 9시 10분 기준으로는 코스피 3083.41, 코스닥 789.88로 상승폭을 높여가고 있다. 출처 https://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685 |
현대차 밀어내더니…시총 5위 두고 '엎치락뒤치락' 2025.06.29 10:23 | 한경닷컴 | 선한결 기자 AI·원전·방산 등 '메가테마' 주도에 '굳건 5위'였던 현대차 밀려 올들어 264% 급등한 두산에너빌리티, 148% 뛴 한화에어로 등 경쟁 가세 외국인은 KB금융에 집중 투자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시가총액 5위 기업을 둘러싼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출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275064i |
미래에셋증권2우B, +2.67% 52주 신고가 2025.06.25 14:34 | C-Biz봇 미래에셋증권2우B가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전일 대비 2.67% 상승한 9,2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출처 https://biz.chosun.com/stock/c-biz_bot/2025/06/25/V5UTEAABDSZKX3TZLZNXV6XNWY |
Always be full of luck and have a nice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