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KOSPI

<BNK금융지주> 주가, 배당금, 전망, 특징 (부산은행 등)

목차

     

    789789

     

     

    BNK금융지주

    BNK금융지주는 2011년 부산은행, BNK투자증권 등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지방은행 금융지주회사로 설립되어 금융시장에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이후 BNK시스템과 BNK저축은행을 설립하고 2014년에는 경남은행을 자회사로 편입하며 금융그룹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였습니다. 최근 2023년에는 빈대인 회장이 취임하고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ESG 경영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더 나아가 2024년에는 기업혁신대상과 녹색경영 우수기업 환경부장관상을 수상하며 사회적 책임과 혁신 역량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1) 주요지표

    78999
    <네이버>
    78999
    78999
    <네이버>

    종목명 BNK금융지주 (138930)
    시가총액 3조 9,639억원 (코스피 109위)
    주가 12,480원
    외국인지분 39.87%
    배당수익률 5.22%
    BPS 33,009원
    PBR N/A
    EPS 2,012원
    PER 6.19배
    동일업종 PER 7.03배

    *2025년 6월 30일 <네이버증권> 기준

     

    2) 사업분야

    BNK금융지주는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을 주력 자회사로 하여 은행업을 기반으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 및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예금, 대출, 외환 등 전통적인 은행 업무를 포함합니다.

    또한, 증권업을 통해 고객들에게 주식, 채권 등의 투자 상품과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투자 기회를 넓히고 있습니다.

    자산운용 분야에서는 채권, 주식, 부동산, 특별자산 등 다양한 자산군을 대상으로 투자 상품을 개발하고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역량 강화를 통해 모바일 뱅킹 및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고객 접근성을 높여 편리한 금융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BNK금융지주는 은행, 증권, 자산운용 등 다각화된 금융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해 고객의 미래를 풍요롭게 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3) 투자현황

    BNK금융지주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 추세에 발맞춰 IT 시스템과 인프라 고도화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객에게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인 비대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또한, 물리적인 영업점 환경을 현대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시설 투자를 진행하여, 고객들이 더욱 쾌적하고 접근성 높은 환경에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는 데이터 처리 역량을 강화하고 보안 시스템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어, 금융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설비 및 시설 투자는 BNK금융지주가 미래 금융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핵심적인 전략의 일환입니다.

     

    4) 강점분석

    BNK금융지주는 대한민국 최초의 지방은행 금융지주회사로서, 부산은행을 비롯한 여러 계열사를 통해 다각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견고한 사업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자회사 전반에 걸친 사업 목표 부여와 경영성과 평가를 통해 효율적인 그룹 경영을 실현하며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캐피탈 부문 등 주요 자회사의 실적 개선이 확인되고 있으며, 증권 부문 또한 향후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보통주자본비율의 상승은 잠재적인 배당 기대감을 높이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BNK금융지주가 안정적인 기반 위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할 수 있는 핵심적인 강점으로 평가됩니다.

     

    5) 약점분석

    BNK금융지주는 연초부터 연이은 실적 악재를 겪으며 투자 심리 악화에 직면한 바 있습니다.

    이는 부산 반얀트리 화재와 같은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시공사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쌓는 등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방은행으로서 지역 밀착 전략의 한계와 저원가성 예금 비중 축소로 인해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향후 건전성 관리와 수익성 개선에 있어 BNK금융지주가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으로 보입니다.

     

    6) 향후전망

    현재 BNK금융지주는 지방은행으로서의 강점과 다각화된 사업 구조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영업 기반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발생한 일회성 비용과 저원가성 예금 비중 감소 등의 요인으로 수익성 측면에서 일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25년에는 경영 환경의 변화와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BNK금융지주는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며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디지털 전환과 같은 내부 역량 강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따라서 2025년에는 수익성 개선과 더불어 견조한 자산 건전성 유지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장기적인 성장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7) 뉴스기사

    BNK금융지주, 2분기 실적 개선이 신뢰 회복의 분수령
    2025.06.27 14:54 | 프레스나인 | 나한익 기자

    BNK금융지주가 연초 겪은 연이은 실적 악재로 투자심리가 상대적으로 위축된 가운데, 오는 2분기부터의 실적 정상화가 투자자 신뢰 회복으로 이어질 것 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삼성증권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실적 반등과 주주환원 강화 계획의 실행 여부가 향후 주가 반등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출처
    https://www.press9.kr/news/articleView.html?idxno=64772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 부울경 위기 속 구원 등판…지역 상생 앞장 [2025 100대 CEO]
    2025.06.30 06:03 | 한경비즈니스 | 안옥희 기자

    BNK금융그룹 본사가 위치한 부산·울산·경남 지역 경제는 극심한 침체를 겪고 있다. 수도권으로의 자본과 일자리 집중이 가속화되면서 지방 소멸 위기가 현실화하는 상황에서 BNK금융그룹은 지역 경제 회복의 중심축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출처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6220857b
    BNK금융, 여성 리더 양성 나서
    2025.06.30 10:59 | 아시아경제 | 오규민 기자

    'BNK WIN'S' 공식 출범

    BNK금융지주가 여성 리더 양성 프로그램 'BNK WIN'S'를 공식 출범했다고 30일 밝혔다. 그룹 내 여성 인재들이 다양한 부문에서 리더로 성장하고 조직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적이다.

    출처
    https://news.nate.com/view/20250630n12632

     

    Always be full of luck and have a nice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