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YSE

홈디포 주가·전망·배당금 총정리 (글로벌 홈인테리어)

목차

     

    879879

     

     

    홈디포

    안녕하세요. 이 기업은 1978년 미국 애틀랜타에서 버니 마커스와 아서 블랭크가 창립한 주택개선 전문 소매업체입니다.
     
    초기에는 ‘셀프서비스형 대형 창고식 매장’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주목받으며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1981년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이후 미국 전역으로 사업을 확장했고, 캐나다·멕시코 등 해외시장에도 진출했습니다.
     
    현재는 세계 최대 규모의 건축자재·인테리어 소매기업으로, 디지털 전환과 온라인 유통 강화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1) 주요지표

    879987
    <네이버>
    789879
    789879
    <네이버>

    종목명 홈디포 (HD)
    상장 뉴욕 거래소
    시가총액 3,859억 달러
    (한화 약 549.3조원)
    주가 387.72 달러
    주당배당금 9.20 달러
    배당수익률 2.37%
    BPS 10.72 달러
    PBR 36.17 배
    EPS 14.71달러
    PER 26.35 배

    *2025년 10월 15일 <네이버증권> 기준

     

    2) 사업분야

    홈디포(Home Depot)는 주택 리모델링과 건축자재, 인테리어 용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세계 최대의 홈임프루브먼트 소매기업입니다.
     
    주요 사업은 개인 고객과 전문 시공업자를 대상으로 한 DIY(직접 시공) 및 프로용 자재 판매로 구분됩니다.
     
    매장에서는 목재, 페인트, 바닥재, 조명, 전기설비, 욕실용품 등 다양한 건축 및 인테리어 제품을 제공합니다.
     
    또한 정원·조경 관련 제품과 공구, 가전, 스마트홈 기기 등 생활밀착형 상품군도 폭넓게 취급합니다.
     
    최근에는 온라인 플랫폼과 모바일 앱을 통한 전자상거래 비중이 크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주택 개보수 서비스와 설치·유지보수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 편의를 높이고 있습니다.

     

    3) 투자현황

    현재 기준으로 홈디포는 물류·배송 인프라를 강화하면서 주문 처리를 재정의하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매장과 디지털 플랫폼, 현장(jobsites)을 잇는 통합 물류 시스템 구축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문 시공업자(Pro)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역량을 확대하기 위해 배급망 네트워크를 확장 중입니다.

    최근에는 건자재 유통 기업 인수를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넓히는 전략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기술 역량 향상을 위해 매장 체험, 재고 가시성, 컴퓨터 비전 등 혁신 솔루션도 도입하며 내부 시스템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본 배분 전략에는 신중한 태도로 접근하면서 필수 투자 우선 순위를 유지하는 균형 잡힌 접근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강점분석

    북미 전역에 걸친 광범위한 매장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고객 접근성과 배송 대응력이 뛰어납니다.

    자사 보유 부동산 비율이 높아 프리미엄 입지 확보와 비용 통제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가집니다.

    공급망과 물류 시스템 통합 역량이 강해 신속한 배송 및 재고 가시성 확보가 가능합니다.

    브랜드 신뢰와 고객 충성도가 높아, 전문가(Pro) 고객과 DIY 고객 모두에게 인정받는 브랜드 파워가 있습니다.

    온·오프라인을 연결하는 옴니채널 전략과 디지털 경험 강화를 지속 추진하여 고객 편의를 높이며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5) 약점분석

    사업의 대부분이 북미 시장에 집중되어 있어 지리적 다각화 부족이 리스크로 작용합니다.

    노후화된 시스템과 시설이 디지털 전환 및 운영 효율성 향상에 제약을 줄 수 있습니다.

    높은 운영 비용과 원자재 가격 변동성 때문에 수익성 압박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주택 경기 변동에 매우 민감하여, 주택 투자 둔화 시 매출과 수요가 급격히 위축될 위험이 있습니다.

     

    6) 향후전망

    현재 <홈디포>의 상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재 이 기업은 미국 주택 경기 둔화와 소비자 지출 위축 압박 속에서도 리모델링·건축 수요가 완전히 꺾이지 않으며, 프로(contractor) 부문의 비중 확대 전략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대형 매장과 통합 물류망, 디지털 채널 연결을 통해 옴니채널 운영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인수합병을 통해 건자재 유통 역량을 보강하고 있습니다.

    다만 매장 방문자 수 감소와 원자재 가격 상승, 주택 투자 위축 리스크는 단기적인 부담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투자자 사이에서는 배당 지속성 및 자본배분 전략, 수익성 유지 가능성에 대한 신뢰가 주요 검토 대상입니다.

     

    향후 2025년 전망은 다음과 같이 예상됩니다.

    홈디포가 프로 고객 기반 확대에 더욱 집중하면서 고수익 사업 중심의 구조 조정이 예상됩니다.

    구체적으로는 인수한 유통기업 통합을 통해 현장(공사 현장) 배송과 자재 조달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 가격 조정 전략을 일부 제품군에만 적용하면서 마진 방어와 고객 충성도 균형을 유지하려는 움직임이 예상됩니다.

    다만 미국 주택 시장의 회복 속도와 소비자 신뢰 회복 여부가 성장 탄력을 결정할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7) 뉴스기사

    홈디포, GMS 인수전 참전…QXO와 경쟁
    2025.06.20 11:01 | 뉴스톱 | 엄수영 기자

    GMS 인수전 본격화
    QXO, 인수가 50억 달러 제안

    홈디포(Home Depot)가 건축자재 유통업체 GMS에 인수 제안을 했으며, 이는 QXO와의 입찰 경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출처
    https://www.newstop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28912
    오락가락 트럼프 "中 대두 수입 중단에 보복"…뉴욕증시 출렁
    2025.10.15 09:50 | 중앙일보 | 강태화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중국에 대한 오락가락한 입장을 밝혔다.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크게 출렁거렸다.

    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3850
    뉴욕증시 혼조…은행 실적 호조에도 미·중 무역갈등 부담
    2025.10.15 08:40 | 뉴스톱

    웰스파고 7% 급등·씨티 4%↑…투자은행 실적 호조
    트럼프 “中 추가관세 검토”…파월 “경제 예상보다 견조”

    미국 뉴욕증시는 14일(현지시간) 주요 은행들의 3분기 실적 호조와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발언에도 불구하고, 미·중 무역갈등 우려가 재부각되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출처
    https://www.newstop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36

     

    Always be full of luck and have a nice day.